-
귀농인의 경영실태 조사 및 성공요인 분석 연구
과제구분 |
기본연구 |
수행시기 |
전반기 |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
연구분야 |
수행기간 |
연구실 |
책임자 |
농업 농촌 활력 증진 연구 |
농업경영 |
’19~’20 |
작물연구과 |
이원석 |
귀농인의 경영실태 조사 및 성공요인 분석 연구 |
농업경영 |
’19~’20 |
작물연구과 |
이원석 |
색인용어 |
귀농인, 농업경영, 성공요인, 농업농촌 활력화 |
-
- □ 연구 목표
- 전국 및 경기도 농가 추이는 지속적인 감소 추세에 있다, 전국 농가 수는 2019년 1,007천 농가로 2013년 대비 27.7% 감소하였다. 최근 경기도 농가 수는 2013년 대비 17.7% 감소하여 전국 대비 5.9%p 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우리나라 농업농촌이 지속가능성을 위협받을 정도로 농가 고령화가 심각한 수준이라는 견해도 있다.(마상진, 2017) 이러한 추세가 지속되면 경기도 농업・농촌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가 대두된다. 이에 대응하여 도시 등 외부 인력의 농촌 유입이 필요하고 바로 귀농·귀촌이 그 해답이 될 수 있다고 보여 진다. 김경덕 등(2012)은 귀농자 1인으로 발생하는 사회적 순 편익은 연간 1639만원으로 추산하였다. 이수행 등(2017)은 귀농귀촌의 증가와 함께 농촌창업의 확대는 농촌의 새로운 인구 유입과 농가소득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그러나 전국적으로 귀농인구는 꾸준히 증가하다 2016년부터 감소 추세로 전환하였다. 또한 경기도 농가인구는 연평균 13%의 감소와 함께 귀농인 유입도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귀농인 유입이 감소추세인 것은 여러 가지 원인에 있으나, 중요한 것은 농업 농촌의 삶이 기대한 것 보다 못한 것에서 찾을 수 있다. 바로 농가인구, 귀농인 동반 감소추세에 귀농인 성공적 영농정착을 위한 지속적인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이다.
- 김정섭 등(2017)은 귀농인구가 농촌에 안정적 정착할 수 있게 신규취농, 주거, 일자리 측면의 정책을 확대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이수행(2018)은 귀농인의 농촌유입은 확대되고 있지만 전업농 수준의 신규농업인 유입은 미흡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귀농·귀촌은 농업의 지속가능성과 농촌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경기도 귀농인이 영농정착 과정에서 느끼는 문제점 및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지원방안을 찾고자 함에 목적을 두었다. 성공적인 영농 정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을 분석하고. 농촌일자리 만들기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경기도 귀농인의 안정적 영농정착을 위한 정책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
-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