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대응 병 발생실태 및 영향요인 분석 연구
과제구분 어젠다 수행시기 전반기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연구분야 수행기간 연구실 책임자

현장애로 병해충 진단 및 발생 예측 기술 개발

작물보호 ’17~’19 환경농업연구과 이현주

기후변화 대응 병 발생실태 및 영향요인 분석 연구

작물보호 ’17~’19 환경농업연구과 이현주
색인용어

기후변화, 고추 탄저병, 배 붉은곰팡이병, 검은별무늬병, 영향요인

 
□ 연구 목표
최근 폭염과 가뭄, 집중강우 등 이상기상에 의한 토착 병해의 돌발적 발생 증가와 국가 간 교역 증가와 재배작물의 다양해짐에 따라 외래 병해에 의한 피해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이같이 기후변화는 농업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병해충 발생과 개채군의 이동 및 생물다양성에 영향을 준다(Kim et al., 2009). 기후변화에 따라 우리나라는 현재 온대기후에서 아열대성 기후대로 변화되고 이로써 재배 가능한 농작물 종류와 재배 작형은 물론, 병, 해충, 잡초 발생 양상도 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Do et al., 2016). 이에 정부에서는 “농업분야 기후변화 실태조사 및 영향·취약성평가 기준”을 2016년 3월 21일 제정·고시하여 2016년 3월 21일 시행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농작물 병해충의 발생양상 변화 및 피해 경감을 위해 노력 중이다(농림부, 2016).
기상환경은 병원균의 발병력 뿐만 아니라 기주 식물의 저항성과 기주-병원체 상호작용에도 영향을 주므로 기후변화에 따른 발병 예측은 기주, 병원체 및 기주-병원체 상호작용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신 등, 2011). 농업생태계에 서식하는 생물들은 특정 범위의 기후 및 환경조건에 적응하기 때문에, 기후변화는 개체군의 밀도 변화, 생물학적 형질 및 유전의 변화 등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2007년 기후변화협약이 채택된 이후 기후변화의 영향, 취약성 평가와 적응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다(IPPC, 2007). 기후 변화에 따른 식물 생육에 대한 예측 연구는 활발한 반면, 심각한 수량손실을 초래하는 식물병 발생에 관한 연구는 미미하며(신 등, 2011), 해충에 비해 기후변화에 따른 식물병 발생 변화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Do et al, 2016). 해충은 월동해충 발생시기가 앞당겨지고 연간 세대수가 증가하는 방향성을 보이는 반면 병 발생은 전체적인 변화의 방향성이 없는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환경과학원, 2015). 이처럼, 작물 병해의 기후변화 영향·취약성 평가에 관한 자료와 연구는 미흡한 실정으로 지속적인 데이터의 축적과 정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에 따라, 주요 작물의 병해 발생실태를 매년 조사하여 발생 변동과 기후환경, 재배 기술 등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새로운 적응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고추 탄저병과 배 검은별무늬병, 붉은별무늬병에 대해 경기지역의 발생실태를 조사하고, 데이터 축적과 함께 병 발생 영향요인들과의 분석을 통해 취약성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