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농특산물 품종별 당류분석 및 영양성분 DB구축
과제구분 기본연구 수행시기 전반기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연구분야 수행기간 연구실 책임자

경기농산물 신수요 창출을 위한 가공기술 개발

농식품자원 ’18~ 작물연구과 하태문

지역 농특산물 품종별 당류분석 및 영양성분 DB구축

농식품자원 ’18~’19 작물연구과 하태문
색인용어

지역 농특산물, 품종, 당류, 영양성분, DB

 
□ 연구 목표
국민의 하루 평균 당 섭취량은 전체적으로 23%가량 증가하였으며, 특히 6~18세의 당 섭취량은 2008년 48.7g에서 2009년 52.5g, 2010년 62.9g으로 증가하였다. 이중 과일, 우유에서 유래한 당을 제외한 첨가당의 섭취량만 각각 29.9g, 30.7g, 41.1g에 달하고 있다.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 기여도는 2013년 기준 62%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섭취 저감 대책이 추진되고 있으며, 과일, 채소로부터의 당류 섭취를 통한 건강한 식문화 형성이 요구된다. FAO / INFOODS(세계 식품성분 데이터 기구)에서 각 국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의 품종별 정보 등 생물다양성에 기초한 영양성분 DB 구축을 장려하고 있다. 제도적으로는 농촌 융복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류의 제정(시행 2015. 6. 4)으로 농촌지역 농산물 등 자원을 이용하여 식품가공·제조업, 유통·관광, 서비스업 등이 복합적으로 결합된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농촌 지역경제 및 농업생산성 향상을 위해, 우수한 농산물을 활용한 상품 및 가공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지역농산물의 영양정보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최근 국내․외에서 과수, 채소, 곡물류 등의 신품종 육성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으나 신소득 작목으로 발굴가치가 있는 지역농산물의 품종별 영양성분 분석, DB 구축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으로, 실제 우리나라 국민이 주로 이용하고 있는 식품에 대한 영양성분 구축이 필요하다. 한편, 과실류 및 과채류에 대한 성분연구는 Lee 등(1984)은 우리나라 시판 사과, 감귤, 복숭아, 포도, 배 등 과실류에 대해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유리당을 정량한 바 있고, Lee 등(1972)은 토마토, 수박, 참외, 복숭아, 자두 등 국내산 주요 과채류 및 과실류의 유리 아미노산과 당함량을 분석하였다. 과실류의 경우, 유리당, 아미노산, 유기산 등을 분석하여 품질지표나 수확적기를 판별하는 기술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Kim 등(2006)은 국내산 사과의 품종별 유리당 함량을 분석하여 품질지표 확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한 바 있고, Choi 등(1997)은 일본계 사과품종의 성숙과정 중 유리당과 유리아미노산 함량변화를 보고하였다. Choi 등(1998)은 신고배, 영산배의 유리당과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여 수확적기를 측정하는 바이오센서 개발에 활용한 바 있다. 또한, Song 등(1998)은 제주도의 대표 과실인 감귤류의 숙기에 따른 유리당, 유기산, 헤스페리딘, 나린진, 무기물 등의 함량변화를 분석하여 감귤 가공 등에 필요한 수확시기 판정에 활용되도록 하였다. 과채류의 대표 작목인 딸기의 경우, 노지재배 성숙과정 중의 환원당, 유리당, 비타민 C, 무기질 등의 변화에 대해 분석한 바 있고(Lee & Chi 1989), 국내 육성 딸기 품종의 저장기간 중 품질과 항산화 활성의 변화에 대한 보고가 있다(Choi 등 2013). Jeong 등(2006)은 국내산 파프리카 품종별로 화학성분을 분석하여 파프리카의 가공식품 재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 과제는 각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의 신뢰도 높은 당류 성분 분석법을 확립학고 및 데이터 생성을 통하여 지역별 우수농산물의 영양정보를 소비자와 생산자에게 제공하고자 농촌진흥청과 각 도 농업기술원이 공동으로 지역농산물의 품종별 영양성분 분석과 DB구축사업으로 추진되었다.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는 전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과실류 및 과채류 9품목 45품종에 대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유리당 함량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보고하자 한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