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작물 신문제 바이러스 발생 생태 연구
과제구분 어젠더 수행시기 전반기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연구분야 수행기간 연구실 책임자

기후변화에 따른 돌발 및 외래 병해충 확산방지 기술 개발

작물보호 ‘15~’18 환경농업연구과 이현주

원예작물 신문제 바이러스 발생생태 연구

작물보호 ‘15~’18 환경농업연구과 이현주
색인용어

원예작물, 토마토, 고추, 국가관리 바이러스

 
□ 연구 목표
최근 기상변화와 재배법 변천, 종자 생산 기술, 농산물의 국가간 교역 등이 증가함에 따라 농작물의 병해 발생 양상이 변화하고 있다. 특히, 국내에 발생하지 않았던 새로운 병해의 발생은 방제에 대한 초기 대응 미흡으로 인하여 농업현장에서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세계교역이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서 국내에 발생하지 않았던 바이러스들이 꽃노랑총채벌레, 담배가루이와 같은 매개충의 유입 또는 바이러스에 오염된 종자로 인하여 국내에 처음으로 발생하기 시작하여 큰 피해를 입히고 있다. 특히,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 TYLCV)는 2008년 경남 통영, 거제, 제주, 전북 익산 등에서 발생하여 중요한 문제 바이러스로 대두되기 하여 2009년에는 경상남도 등 전국적으로 22개 시·군으로 확산 발생하였다(Ji 등, 2008, Kim 등 2011). TYLCV는 국가관리 대상바이러스로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발생된 농가의 긴급방제로 피해확산을 방제하고 있는 중요 바이러스로서 우리나라에서는 2008년 이후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는 우리나라에서는 2003년 충남 예산 지역 파프리카 재배농가의 파프리카 1주에서 TSWV의 발생이 처음 확인 되었고(Kim 등, 2004), 그 후 2004년 경기도 안양 지역에서 토마토 등 주요 작물에 대발생 하였으며(Cho 등, 2005), 2009년까지 전국 23개 시군에 확산되었다(Choi 등, 2010). 경기도내에 문제되고 있는 바이러스에 대한 모니터링과 조사를 통해 바이러스병의 발생 시기 등 발생 생태, 기주범위, 저항성 품종 및 재배 양식 등 대발생의 상관관계를 구명함으로써 종합적인 관리대책을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국가관리 바이러스로 지정된 12종(사탕무황화바이러스(Beet western yellows virus, BWYV), 토마토퇴록바이러스(Tomato chlorosis virus, ToCV) 및 토마토황화 잎말림바이러스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TYLCV), 박과진딧물매개황화바이러스(Cucurbit aphid-borne yellows virus, CABYV), 등대풀잎말림바이러스(Euphorbia leaf curl virus, EuLCV), 동아시아시계초바이러스(East Asian Passiflora virus, EAPV), 봉선화 괴저반점바이러스(Impatiens necrotic pot virus, INSV), 파파야잎말림바이러스(Papaya leaf curl virus, PaLCuV), 질경이모자이크포텍스바이러스(Plantago asiatica mosaic virus, PlAMV), 토마토덤불위축바이러스(Tomato bushy stunt virus, TBSV),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 순무황화모자이크바이러스(Turnip yellow mosaic virus, TYMV)에 대한 경기지역의 발생실태 모니터링이 수행 되었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