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에 따른 경기도 작목 변화 예측 연구
과제구분 기본연구 수행시기 전반기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연구분야 수행기간 연구실 책임자

기후변화 적응 및 온실가스 저감 친환경 생산기술 개발

농업환경 ‘16∼’18 환경농업연구과 주옥정

지구온난화에 따른 경기도 작목 변화 예측 연구

농업환경 ‘16∼’18 환경농업연구과 주옥정
색인용어

기후변화 시나리오, 작목변화, 지구온난화, 재배적지

 
□ 연구 목표
온실가스 증가에 따른 지구온난화는 지역 및 작물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며 국지적인 기후특성 변이는 작물재배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최근 이상기상이 전지구적으로 자주 발생하면서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기후변화에 민감한 농업분야는 기상재해로 인해 농업생산기반의 피해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김성재 외, 2012; 장민원과 김상민, 2013). 특히 과수는 지구 온난화가 됨에 따라 저온요구도가 부족하여 휴면병, 만상피해, 동해 및 생리장해 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는 기후변화에 의한 작물의 분포, 생산량 및 생육시기의 변화 등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윤성호와 이정택, 2001; 황규홍외, 2001; 심교문 외, 2002; 심교문 외, 2004; 김춘송 외, 2007; 김대준 외, 2012; 권영순 외,
2012). 또한 기상환경변화에 따라 농작물의 생육과 수량은 큰 변동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기존에 설정된 작물의 안전재배지대의 재배치가 요구되고 있다. 농작물의 안전재배지대를 구분하는 데에는 기상조건, 토양조건, 작물의 특성, 사회경제적 조건 등이 필요하지만, 그 가운데 작물재배 자체에 한정한다면 기상조건만 있어도 어느 정도 재배한계를 결정할 수 있다(최돈향, 2001). 온대과수의 경우 겨울철 저온에 의한 피해는 과종의 분포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며, 온실가스에 의한 기온상승은 농작물의 생장과 발육에 영향을 주어 발아기, 개화기, 수확기 등 생물계절을 변화시키고, 최종 수확물의 품질과 저장력까지 영향을 미친다(조정건 등, 2012). 품종별로 생육시기를 결정하는 온도의 영향이 정량화되어 있다면, 당해 연도의 실측기온을 토대로 발아와 개화시기 등을 예측할 수 있다(김수옥과 윤진일, 2010). 국내 주요 온대과수의 발아기 및 만개기 예측을 위하여 휴면시계모형(Cesaraccio et al., 2004)을 이용한 선행연구가 있으나 일반적인 주산단지의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 전체지역에 대한 예측결과는 실측되는 것보다 5~10일 정도 늦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조정건 등, 2012). 따라서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경기도 기상환경 변화를 RCP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예측하였으며, 경기도에서 재배되고 있는 주요 작목의 발아기 및 만개기 등의 생육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생육시기를 결정하는 평균기온 등을 정량화하여 경기도 지역의 주요작목 재배적지 예측으로 지속가능한 농산물 안정 생산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