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산물 생산실태 조사 및 정보제공 연구
과제구분 |
기관고유 |
수행시기 |
전반기 |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
연구분야 |
수행기간 |
과제책임자 및 세부책임자 |
농가경영 의사결정 정보제공 및 확산
|
경영정보 |
‘18 |
작물연구과 |
이진홍 |
농산물 생산실태 조사 및 정보제공
|
경영정보 |
’18 |
작물연구과 |
이진홍 |
색인용어 |
벼, 콩, 율무, 포도, 농업관측, 재배면적 반응함수
|
-
- □ 연구 목표
- 우리나라의 농산물 시장은 기상 조건, 대외 개방의 영향을 받은 수급 불안과 농산물 가격의 급등락이 수시로 발생하고 있어 농가의 경영안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본부는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수급 불안정에 따른 농산물 가격의 급등락을 사전에 조정할 수 있는 관측사업을 통해 농산물 수급 안정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뿐만 아니라 작목별 적정 재배면적 유도를 위해 영농 전 재배의향면적 정보를 작목별로 2~3회 정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관측정보 제공은 수급의 과잉 및 과소가 예상될 때 자원배분의 효율성 제고와 사회적 손실분 최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용선외, 2001; 김관수 외, 2009). 현재까지 농업관측사업의 평가는 이용선 외(2001), 이용선 외(2002), 김관수 외(2009) 등의 연구가 대부분이며 이 연구들도 국가농업관측사업에 그치고 있다. 이러한 사업의 당위성 아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농업관측사업의 중요성은 지역 농가의 경영계획 수립 및 경영 안정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이에 경기도에서도 농업기술원 농업분석팀 주관으로 작목별 재배의향면적과 예상생산량을 조사 분석하여 농가의 작목선택과 재배면적 결정의 기초자료로 제공하였다(이진홍 외, 2017). 2017년엔 2회(재배의향 1회, 예상생산량 1회)에 걸쳐 시군농업기술센터와 농가, 농정부서 등에 정보를 제공 한 바 있으나, 농업관측사업의 타당성 확보, 정보의 신뢰도 및 영농활동 기여도 제고를 위해서는 동 사업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발전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이진홍 외. 2017)와 차별화 되도록 수요가 비탄력적이며 공급은 수요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도 간 변동이 큰 벼, 콩, 율무, 포도 등에 대한 재배면적 예측을 통해 적정 재배면적 유도 또는 과잉생산이나 과소 생산을 사전에 조절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재배면적 반응함수의 추정과 관련된 선행연구는 쌀(안병일, 2015), 고추(홍승지 외, 2015), 무(조재환․이한성, 2011) 등이 대부분이며, 이들 연구는 당해년도의 가격과 전년도 가격, 전년도 재배면적을 토대로 당해년도의 재배면적을 예측하기 위하여 Nerlove(196)의 부분조정모형(partial adjustment model)이나 Cagan(1956)의 적응적 기대가설모형(adaptive expectation model)을 이용하고 있다(김배성 외, 2010; 한석호 외, 2010; 김명환 외, 2007; 이용선․심송보, 2006; 김명환 외, 2000; 홍승지 외, 2015). 본 연구에서는 자기상관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적합한 Nerlove(1956)의 부분조정모형을 본연구의 재배면적 함수추정에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거미집형 단순 모형 가정 아래에서 2018년도에 작목별 생산실태(관측) 조사를 실시한 후 생산(관측)정보에 대한 영농이용실태 및 만족도를 평가하고, 나아가서 농가가 재배하는 작목의 적정 재배면적을 유도하기 위한 재배면적 결정모델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경기도 농업관측사업을 통한 적정재배면적 결정모델에 대한 연구는 농가 경영계획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및 경영개선에 필요한 논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