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채류 바이러스 무병 육묘기술 개발
과제구분 기본 수행시기 전반기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연구분야 수행기간 과제책임자 및 세부책임자
  문제 병해충 종합방제 기술 개발 작물보호 ’13~’20 환경농업연구과 홍순성
  과채류 바이러스 무병 육묘기술 개발 작물보호 ’17 환경농업연구과 홍순성
색인용어  토마토, 고추, 육묘장, 바이러스, 총채벌레류, 가루이류
 
□ 연구 목표
농작물의 바이러스 발생은 재배기술의 발달, 종자생산 기술 및 생산지의 변화, 국가간 농산물 교역의 다양화 등에 따라 그 양상이 변화되고 심화되고 있다. 채소류에 발생하는 바이러스는 약 19종이 있으며, 가장 피해를 많이 주는 바이러스는 Cucumber mosaic virus(CMV), Tomato spotted wilt virus(TSWV),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TYLCV), Broad bean wilt virus2(BBWV2) 등 4종이 보고되었다(김 등 2009, 최 등 2010). 그 중 토착된 바이러스인 CMV와 BBWV2는 전국적으로 고추 등 여러 작물에 지속적으로 피해를 주는 반면, 주요 농작물에 피해가 커서 국제적으로 이동 금지된 바이러스인 TSWV와 TYLCV는 토마토, 고추 등의 작물에 전국적으로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과거에는 접촉전염, 종자전염에 의한 바이러스가 발생하였으나 국제 교역량 증가에 따른 꽃노랑총채벌레, 담배가루이 등의 유입에 따라 국내에 발생하지 않았던 바이러스가 발생되었으며, 특히 공정육묘의 보편화에 따라 매개충에 의한 바이러스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김 등 2012). 이들 매개충은 노지에서 월동이 불가능하지만 시설 내에서 월동이 가능하고 일찍 전염원으로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육묘단계에서 바이러스를 집단 대량 매개하여 돌발 바이러스 피해를 주게 된다. 육묘장은 농장주의 의지에 따라 관리상태가 제각각으로서 방충망, 주기적 약제 살포를 하는 곳이 있는 반면, 소규모 육묘장은 방충망도 없이 간헐적 방제를 하는 곳도 있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육묘기부터 매개충을 방제하여 바이러스 초기 감염 억제 기술을 구명하고 육묘장별 바이러스 감염실태를 조사코자 하였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