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업관측정보 이용 및 확산방안 연구
과제구분 |
기본연구 |
수행시기 |
전반기 |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
연구분야 |
수행기간 |
과제책임자 및 세부책임자 |
품목별 농업예측 기술 개발 연구 |
경영정보 |
’15~’17 |
작물연구과 |
이진홍 |
농업관측정보 이용 및 확산방안 연구 |
경영정보 |
’16~’17 |
작물연구과 |
이진홍 |
색인용어 |
농업관측, 경기도, 벼, 콩, 고구마, 포도 |
-
- □ 연구 목표
- 최근 쌀 관세화, FTA 등 농산물 시장 개방 확대 및 농산물 수급불안정으로 국내 농산물 생산, 가격 등락 폭이 커지고 있어 농가경영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농수산물유통및가격안정에관한법률」제5조 제3항에 의거하여 국내 농산물 수급안정을 도모하고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본부를 전담기관으로 지정하여 1999년부터 쌀, 콩 등 35개 작목에 대해 수요, 공급, 해외정보를 수집․분석하여 단기 관측사업과 중장기 농업전망을 실시하고 있다(한국농촌 경제연구원, 20016). 그동안 미국에서 도입된 후 개량된 우리나라 농업전망 모델(KREI-KASMO)은 농업부문 부분균형모형으로서 농산물 수급 중장기 선행모형으로 개발되어 농업총량, 물가, 인구, 면적 등을 추정하고 있으며(한국농촌경제 연구원, 2013), 단기 관측에 대한 필요성 증대로 단기 선행 수급 모형도 운영하고 있으나(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지역적 특성 또는 개별 경영 특성을 반영한 관측정보 개발 연구로까지 확대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역적으로는 제주도에서 ‘99년부터 제주 감귤 생산량 조사를 통해 과잉 생산 감귤 가공 및 폐기 등 수급안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2015). 충청남도는 행정통계의 일환으로 무, 배추, 고추의 재배의향면적과 실제재배면적을 조사하여 산지유통인과의 가격 교섭력 증진을 위해 조사사업을 추진하고 있다(충청문화 산업진흥원, 2015). 이 지역에서는 주산지 작목의 수급계획 차원에서 특화작목의 생산, 유통정보 모니터링에 머물고 있다. 이에 농가가 경영계획을 수립하거나 경영안정 및 판로개척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관측정보로 차별화시킬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특성에 맞는 관측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 농업관측 매뉴얼(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을 참고하여 농업관측 조사체계 및 분석방법을 도출하는 한편, ’16년 농림축산식품부 농업경영체 등록정보를 이용하여 경기도 소재 작목별 농가를 모집단으로 하여 표본설계를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표본 농가를 대상으로 작목별 재배의향면적과 예상생산량을 조사․분석하여 재배작목선택 및 재배면적 결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작목별 관측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주산지 생산 및 출하동향을 파악하여 관측정보 제공에 활용할 수 있도록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표본농가에게 제공된 관측정보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경기도 농업관측사업의 보완방향을 도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