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잔디 혼합식재 기술 및 관리 매뉴얼 개발
과제구분 |
지역특화 |
수행시기 |
전반기 |
연구과제 및 세부과제명 |
연구분야 |
수행기간 |
과제책임자 및 세부책임자 |
학교운동장 천연잔디 품종육성 및 관리기술 개발 |
잔디 |
’14~’18 |
작물연구과 |
한상욱 |
잔디 혼합식재 기술 및 관리 매뉴얼 개발 |
잔디 |
’15~’17 |
작물연구과 |
한상욱 |
색인용어 |
잔디, 혼합식재, 한지형잔디, 덧파종 |
-
- □ 연구 목표
- 한국잔디는 다양한 토양 조건에서도 잘 자랄 뿐만 아니라 건조한 환경에서 견딜성이 강하고 내병성이 높은 유전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Choi et al., 2006). 관리비용이 적게 들고 운동장, 공원, 경사면, 도로변 등 관리수준이 낮은 지역에 많이 사용되는 잔디일 뿐만 아니라 고품질이 요구되는 골프그린에도 사용될 정도로 그 이용이 다양하다(Patton, et al., 2017). 그러나 우리나라 중부지역에서 한국잔디는 일년 중 5∼6개월의 긴 휴면으로 생육이 정지되고 월동기간 동안은 사실상 잔디밭 이용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며 잔디 고유의 녹색을 잃어 잔디로써의 일부 기능이 상실된다. 이러한 이유로 오래 전부터 한국잔디에 대한 녹색기간 연장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Yeam et al., 1985; Chang and Kim, 1986; Kim, 1990).
- 한국잔디를 비롯한 난지형잔디의 녹색기간 유지 방안으로 난지형잔디를 기반으로 하여 한지형잔디를 연중 계절에 맞게 함께 이용하는 혼식재배가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세계의 전이지역(transition zone)에서 연구되고 활용되고 있다(Razmjoo et al., 1995; Li and Han, 2008; Zhang, et al., 2008). Park (2003)의 연구에 의하면 들잔디, 버뮤다 그래스를 비롯한 5종의 난지형잔디에 켄터키 블루그래스 또는 톨 훼스큐를 덧파종 후 5년간의 초종 구성비율 변화 조사에서 들잔디, 세인트 어거스틴그래스, 버뮤다그래스는 대체적으로 50% 정도의 안정적인 혼식 비율을 유지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아열대기후 지역에서는 품질 및 적응성이 좋은 버뮤다그래스 잔디밭에 온도가 낮은 계절에는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와 같은 한지형잔디를 덧파종하여 이용하기도 한다(Kim et al., 2012). Kim et al. (2012)은 골프장 버뮤다그래스 페어웨이에 퍼레니얼 라이그래스를 오버시딩 하여 버뮤다그래스의 생육이 적은 봄(4∼6월)과 가을(9∼10월)에 페어웨이의 품질을 향상시킨 결과를 보고하였다.
- 우리나라에서도 난지형잔디인 zoysiagrass가 생육적온 이하로 내려가 생육이 저조한 늦가을과 이른 봄에 비교적 낮은 온도에 적응성이 좋은 한지형잔디를 한국잔디에 덧파종하여 녹색의 잔디밭을 일정기간 연장하는 시도가 있어왔다(Shim et al., 2004a; Jung and Kim, 2014). Kim (2017)은 켄터키 블루그래스,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톨 훼스큐 초종을 단일 또는 혼합 처리로 들잔디에 덧파종하여 비교한 실험을 통해 한국잔디의 녹색기간 연장과 잔디밀도 및 균일도 등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고 하였다.
- 그러나 국내에서는 동계 휴면으로 녹색기간이 짧은 한국잔디가 잔디구장, 골프장, 공원, 조경 등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덧파종 방법이 현장에서 많이 실용화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앞으로 잔디관리 시설의 개선과 관리수준이 향상되고 잔디의 품질 요구도가 높아짐에 따라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 스포츠 경기장 등 관리수준이 높고 한겨울을 제외하고 연중 사용요구도가 높은 시설에서는 연중 녹색 유지기간이 길고 색상, 품질, 질감 등이 좋은 켄터키 블루그래스,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톨 훼스큐 등의 한지형잔디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Kim et al., 2003a). 그러나 한지형잔디는 한국의 고온 다습한 한여름 기후하에서는 여름철 하고현상과 병 발생 등의 문제로 인하여 관리가 까다롭고, 내서성과 내건성이 약해 품질유지 및 생육 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Kim et al, 2003b; Kim and Nam, 2005). 이러한 장점을 이용하고 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현지 환경에 가장 잘 적응하는 초종이나 품종을 선발하여 사용하기도 한다(Kim and Nam, 2005; Chang et al., 2009). 또한 여러 초종을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서 환경적응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이용되어 왔다(Kim et al., 2003b; Shim et al., 2004b). 한국잔디에 비해 관리 요구도가 높고 연중 품질유지가 까다로운 한지형잔디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현지 기후에 가장 잘 적응하는 초종 선발과 혼합식재시의 연중 품질평가 등의 검토가 필요하다.
- 본 연구은 한국잔디에 한지형잔디 덧파종에 따른 연중 잔디품질, 녹색기간 연장, 잔디밀도, 한지형잔디 피복률 등의 검정과, 한지형잔디 이용을 위한 혼합식재시 조성속도, 연중 품질변화 등을 평가하기 위하여 2015년부터 2년간 수행되었다.
-
-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