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제안]
Economical Effect on Urban Agricultural Industry
도시농업 연관 산업별 경제적 가치액 계량화
- □ 연구배경
- ○ 도시농업의 산업적 측면에서 농업자재 및 연관산업 활성화 역할 제시필요
- – 도시농업의 다원적 기능과 활성화 방안 연구(농촌경제연구원, 2012)
- ○ 도시농업은 도시민 정서 순화, 도시 생태계 유지 보존의 효과와 더불어 새로운 일자리 창출, 관련산업의 발전도 모색해야 함
- □ 주요 연구성과
- ○ 건의부처 : 농림축산식품부(종자생명산업과), 서울시(민생경제과)
- ○ 핵심 건의내용
- – 도시농업 5개년(‘13~17) 육성 계획에 도시농업의 산업적 기능과 발전을 위하여 관련산업의 범위 규정 및 경제적 효과를 제시
- – 관련산업 범위 : 종자․모종생산, 작물보호제, 퇴비․상토, 비료․영양제, 농자재, 농기구, 도시텃밭 시공, 원예교육, 원예자재유통 등 10개 분야
- – 경제적 파급효과
- · 매출액 : 590억원(2013년) → 1,830억원(2020년)
- · 일자리 기여도 : 1,260개(2013년) → 3,840개(2020년)
- 도시농업 연관산업별 시장규모 및 일자리기여도 추정
-
벽면녹화용 소재 공정생산 과정
도시농업 연관분야 |
매출액
(백만원) |
일자리
기여도(명) |
향후전망 |
종자 및 모종 |
11,390 |
340 |
도시농부수 및 텃밭 수급에 따른 증가 |
작물보호제 |
1,428 |
10 |
– |
퇴비/상토 |
7,599 |
91 |
– |
비료 및 영양제 |
2,142 |
14 |
– |
농자재 |
4,271 |
60 |
– |
농기구 |
3,549 |
50 |
– |
주말농장(임대) |
16,617 |
495 |
‘10년 대비 4.4배 증가 |
도시정원·텃밭 시공 |
9,840 |
125 |
최근 3년간 감소 추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