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Selection of Suitable Plants for Indoor and Outdoor Use in School Living Gardens

학교 생활정원 활용 실내외 적합 식물 선발

연구배경

  • 생활공간 속에서 정원문화를 대중화함으로써 다육식물을 정원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지속적인 수요 창출이 요구되고 있음
  • 특히, 어린이들이 어릴 때부터 녹색 환경의 가치를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학교 정원을 생태적이고 교육적인 공간으로 활용하는 생활정원 모델이 필요한 시점임
  • 텃밭가꾸기, 옥상녹화를 활용한 식물 소재 선발 등을 활용한 모델 개발은 초화류나 채소류 등으로 되어 있으나, 어린이들이 관리가 쉽고 환경적응성이 강한 다육식물을 중심으로 생활정원에 활용 가능한 실내외 적합 식물을 선발코자 함

주요 연구성과

  • 실내외 환경적응성 우수 식물 선발
  • – 선발식물: 리돕스, 송엽국, 황금세덤 등
실내외 환경적응성 우수 식물 선발
구분 선발식물

실내외 공통(21종)

리돕스,송엽국,황금세덤,아틀란티스,삼색바위솔,호랑이바위솔,화이트미니마,큐피트,흑토이,적토이,홍미인,소인제,일월금,루비앤넥크리스,황금무늬사철,올리브나무,밀사초,그린벤자민,향등골풀,사이프러스골드나무,남천나무

실내(5종)

거미줄바위솔, 여미월, 우주목,미니염좌,당인

실외(5종) 배치

무스코이, 부용,베르테르, 라디칸스,은사초

– 활용시기: 5~10월

– 활용장소: 초등학교 유휴지, 비가림막 등 반그늘 장소

 

  • 초등학교 실외 생활정원 유형별 모델
  • ① 간이 화분형: 학교 출입구 등을 활용한 작은 정원 모델
  • ② 교육 체험형: 학교 유휴공간 활용한 동물모형 식재 모델
  • ※ 어린이 기호도 및 식재 가능한 모형 디자인(안)과 식물 제시
  • ③ 관상·전시형: 스토리텔링 기법의 방부목 플랜터 활용한 모델
  • ④ 리사이클링형: 재활용품을 활용한 모델
  • ⑤ 휴식형: 학교 쉼터 공간을 활용한 휴식형 모델

기대효과

  • 어린이 교육과정 연계한 실외정원 모델 개발로 생태환경적 가치 향상
  • 생활정원 어린이 교육체험 활동을 통한 미래 소비층 확산에 기여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선인장다육식물연구소 김윤희, 031-8008-9540, sky3884@gg.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