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Optimal Planting Distance for Hydroponic Culture of Hylocereus trigonus
삼각주선인장 수경재배에 적합한 재식거리
연구배경
- 접목선인장 재배를 위한 대목용 삼각주선인장의 재배면적 비율은 40% 수준임
- 삼각주선인장 토양재배는 2~3년마다 용토 교체가 필요하며, 10a당 용토조제와 입·퇴상에 118시간의 많은 노동력 투입이 요구(‘16 경기도원)되므로 재배법 개선 필요
- 접목선인장 수경재배는 토양재배 대비 이병율이 11.7% 경감(‘95, 경기도원)되며 상자 수경재배시 생육기간이 14% 단축(’14, 경기도원)되므로 삼각주의 안정 생산을 위한 수경재배기술 개발 필요
- 수출규격대목 수량증대를 위한 대목용 삼각주 수경재배에 적합한 재식거리 구명 필요
주요 연구성과
- 삼각주선인장의 규격대목 생산에 적합한 재식거리는 8.5×8.5cm임
- 재식밀도에 따른 삼각주 생육 및 생산량
재식밀도에 따른 삼각주 생육 및 생산량

|

|

|

|

|
【15×13cm】
|
【13×13cm】
|
【13×8.5cm】
|
【10×10cm】
|
【8.5×8.5cm】
|
재식밀도에 따른 삼각주 생육 및 생산량
재식거리
(cm) |
규격대목 생산량(개/주) |
식재 주수
(주/10a) |
규격대목 생산량(개/10a) |
9cm 대목 |
14cm 대목 |
9cm 대목 |
14cm 대목 |
계(지수)♩ |
15×13
|
2.2±1.1
|
1.5±0.3
|
30,769
|
68,034c
|
46,359
|
114,393b(100)
|
13×13
|
3.4±0.5
|
1.6±1.1
|
35,503
|
122,287bc
|
56,804
|
179,091bc(157)
|
13×8.5
|
3.0±0.6
|
1.4±0.1
|
54,298
|
161,688b
|
73,846
|
235,534b(206)
|
10×10
|
2.5±0.2
|
0.8±0.3
|
60,000
|
148,667b
|
49,600
|
198,267b(173)
|
8.5×8.5
|
2.8±0.4
|
0.8±0.2
|
83,045
|
235,294a
|
67,543
|
302,837a(265)
|
♩( )는 재식거리 15×13cm 기준의 지수 표시임
기대효과
- 삼각주선인장의 규격대목 생산성 증대와 노동투입 저감으로 농가소득 향상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선인장다육식물연구소 서재순, 031-8008-9532, sjs3923@gg.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