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The Effect of Reseeding for Missing Plant Areas in Soybean Fields
콩 결주 시 보파처리에 따른 효과
연구배경
- 농가에서 파종 후 결주 발생 시 보파를 위한 보파한계기 및 보파가 필요한 기준 설정 필요
- 대규모 농지에서는 드론을 활용한 신속한 결주 탐지 기술이 필요
주요 연구성과
- 결주 4주 이상인 곳에 출현종기 5일 이내로 보파한 결과 정상생육 대비 91%의 수량을 확보할 수 있음
- 콩 결주 시 보파처리에 따른 수량성
- (2024, 연천)
콩 결주 시 보파처리에 따른 수량성
처리 |
수량(kg/10a) |
수량지수 |
정상생육
|
270
|
100
|
보파구
|
246
|
91
|
결주구
|
209
|
77
|
결주탐지방법(드론)

|

|
【RGB 카메라 이용 드론 촬영】
|
【객체 추출 및 결주 탐지】
|
기대효과
- 콩 보파 한계기내 적기 보파로 노동력 절감 및 생산성 향상
- 드론을 활용하여 육안으로 식별하기 힘든 결주 구역의 신속 탐지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소득자원연구소 박지영, 031-8008-9521, wldud1206@gg.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