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Method of Managing the Site for Ginseng Cultivation in Rain-Shelter Greenhouse

인삼 비가림하우스 시설재배시 예정지관리 방법

연구배경

  • 인삼 비가하우스에서 연작(재작)을 하기위해서는 연작피해의 주원인인 뿌리썩음병을 경감 시킬 수 있는 재배기술 개발이 요구됨
  •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비가림하우스에서 인삼을 수확 후 빠른 시간내에 다시 재배하기 위한 예정지관리 기술이 필요

주요 연구성과

  • 인삼 비가림하우스 설치 방법
  • – 비가림하우스 시설 규격: 길이 30m, 폭 8m, 높이 4.5m, 이중하우스
  • – 비가림하우스 피복물 자재: 산란직조필름+검정차광망 90%
  • – 해가림추가설치: 7∼8월 고온기 알루미늄스크린 40% 내부에 설치
  • – 재식거리: 두둑 100cm, 고랑 80cm, 8∼9행×9열(토지이용효율향상 120%)
  • – 병해충방제 및 관수: 포그자동방제, 점적 관수
  • 인삼 예정지 관리 방법
사과원 주요해충 노린재 정보
1년차 2년차

수단그라스→토양훈증→길항미생물

길항미생물+볏짚

  • 1) 수단그라스: 5월 중순∼6월 상순, 10a 당 7∼8kg 산파
  • 2) 토양훈증: 기온 15℃이상 일 때, 10a당 40kg을 균일 살포하고 토심 15∼25cm 깊이로 갈아주고 7∼14일간 비닐을 덮어둔다. 그 이후 비닐을 제거하고 적어도 2회 이상 경운하여 가스를 휘산시킨다.
  • 3) 길항미생물(ARRI17): 분상제(107 이상)를 살포하고 15∼25cm 깊이로 갈아 준다.
  • 4) 볏짚: 5월 중순∼6월 상순 잘게 썰어서 10a 당 4,500kg 투입

기대효과

  • 인삼 정착재배에 따른 친환경재배 및 안정적인 원료삼 생산(재작기간 단축: 10년 → 2년)
  • 4년근 생존율이 관행 처리 대비 16% 높아 수량성 향상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소득자원연구소 안영남, 031-8008-9512, youngnaman@gg.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