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Soil Chemical and Nutrient Excess/Deficiency Ratio of Representative Agricultural Land in Gyeonggi-do
경기도 대표 농경지 지목별 토양화학성과 양분 과부족 비율
연구배경
- ′20~′24년 경기도 대표 농경지의 지목별 토양화학성 검정 후 과부족 비율을 분석하고 토양화학성을 적정범위로 유지하기 위한 토양 및 양분관리 방법 지도
주요 연구성과
- 경기도 대표 농경지 토양검정에 따른 지목별 토양화학성
- – 논ㆍ밭: 논은 교환성 칼륨과 칼슘함량, 밭은 교환성 칼륨의 함량이 적정범위 초과
- – 과수원ㆍ시설재배지: EC, 유효인산 및 교환성 양이온 함량이 적정범위 초과
- 경기도 대표 농경지 토양화학성
경기도 대표 농경지 토양화학성
지목
(조사점수) |
pH
(1:5) |
EC
(dS m-1) |
OM
(g kg-1) |
Av. P2O5
(mg kg-1) |
Ex. Cations(cmolc kg)-1 |
Av. SiO2
(mg kg-1) |
K |
Ca |
Mg |
논
(14,819)
|
6.4
(5.5~6.5)*
|
–
|
21
(20~30)
|
98
(80~120)
|
0.39
(0.20~0.30)
|
6.2
(5.0~6.0)
|
1.5
(1.5~2.0)
|
256
(157≤)
|
밭
(9,671)
|
6.7
(6.0~7.0)
|
0.88
(≤2.0)
|
21
(20~30)
|
523
(300~550)
|
0.80
(0.50~0.80)
|
7.3
(5.0~6.0)
|
1.8
(1.5~2.0)
|
–
|
과수원
(1,304)
|
6.5
(6.0~7.0)
|
2.67
(≤2.0)
|
29
(20~30)
|
677
(300~550)
|
1.29
(0.50~0.80)
|
9.1
(5.0~6.0)
|
2.7
(1.5~2.0)
|
–
|
시설재배지
(1,368)
|
6.6
(6.0~7.0)
|
3.47
(≤2.0)
|
32
(25~35)
|
1,191
(300~550)
|
1.59
(0.50~0.80)
|
11.1
(5.0~6.0)
|
3.5
(1.5~2.0)
|
–
|
* ( ) 지목별 적정범위
경기도 대표 농경지 토양화학성 과부족 비율

|

|
【논】
|
【밭】
|

|

|
【과수원】
|
【시설재배지】
|
기대효과
- 농경지 지목별 토양화학성 과부족 비율에 따른 균형적인 토양 양분관리로 화학비료 절감
- 토양비옥도 DB 구축에 의한 경기도 시군별 토양관리 정책 수립 기초자료 활용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 안희정, 031-8008-9345, heejung0212@gg.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