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Changes i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Nutrient Surplus and Deficiency Rates in Plastic Greenhouse in Gyeonggi-do

경기도 시설재배지 토양화학성 변동과 양분 과부족률 현황

연구배경

  •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 제11조에 따라 4년 주기(2024, 시설재배지 토양화학성 조사)로 토양자원 및 농업환경변동 실태조사 실시
  • 농경지 토양비옥도 변동조사를 통한 시비개선 및 친환경농업 정책수립 기초자료 활용

주요 연구성과

  • 경기지역 시설재배지 토양의 평균 EC와 유기물 함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유효인산과 교환성 칼슘 함량이 대부분 과다하였음
  • – 토양산도 변화: 6.3(’12) → 6.6(’16) → 6.6(’20) → 6.4(’24)
  • – EC 변화: 3.69(’12) → 3.07(’16) → 3.29(’20) → 4.21dS m-1(’24)
  • – 유효인산 변화: 1,577(’12) → 1,563(’16) → 1,488(’20) → 1,361mg kg-1(’24)
  • – 교환성칼륨 변화: 1.45(’12) → 1.38(’16) → 1.34(’20) → 1.34cmolc kg-1(’24)
  • 4년 주기로 수행하고 있는 농업환경자원 변동조사 결과에 의한 시비처방과 토양 중 염류집적 및 불균형 방지를 위한 토양 양분관리가 필요함
  • 연도별 시설재배지 토양화학성 변동현황
연도별 시설재배지 토양화학성 변동현황
조사년도 조사점수 pH(1:5) EC(dS/m) OM(g/kg) Av.P2O5
(mg/kg)
NO3-N
(mg/kg)
Ex.cations(cmolc/kg)
K Ca Mg Na

2024

140

6.4

4.21

39

1,361

256

1.34

10.8

3.1

0.47

2020

140

6.6

3.29

34

1,488

166

1.34

10.7

3.1

0.49

2016

140

6.6

3.07

34

1,563

147

1.38

11.1

3.2

0.50

2012

140

6.3

3.69

33

1,577

725

1.45

11.3

3.5

0.49

적정범위

6.0∼
7.0

2이하

25∼
35

300~
550

0.5∼
0.8

5.0∼
6.0

1.5∼
2.0

 

기대효과

  • 도내 시설재배지 토양화학성 현황 및 변동 자료를 활용한 토양비옥도 유지 및 개선
  • 양분 과잉집적과 불균형 예방으로 고품질 안전농산물 생산 및 친환경 농업에 기여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 정재원, 031-8008-9344, wodnjsqud@gg.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