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The Effect of Growth Regulator Treatment on Fruit Characteristics in 『Stella』 Grape
포도 『스텔라』 생장조정제 처리에 따른 과실 특성
연구배경
- 포도 『스텔라』는 달걀모양으로 과립이 독특하고 껍질째 먹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품종임
- 알이 굵은 포도를 선호하는 최근 소비트렌드에 따라 생장조정제 처리를 통한 과립 비대 등 과실 품질 향상 기술이 필요함
주요 연구성과
생장조정제 처리에 따른 과실 특성
처리방법 |
과방중(g) |
과립중(g) |
과립종횡비 |
당도(°Brix) |
산함량(%) |
색도10) |
구분 |
만개기 |
만개 후 10일 |
L |
a |
b |
무처리 |
157.2
|
3.8 e♩
|
1.45 a
|
17.6 e
|
0.49
|
23.5
|
2.8
|
-1.3
|
T1 |
G1)+2T2) |
G |
421.2
|
6.2 d
|
1.18 c
|
18.2 bc
|
0.52
|
20.5
|
3.4
|
0.3
|
T2 |
G+2T |
G+2T |
456.0
|
6.9 bcd
|
1.16 c
|
17.9 cde
|
0.51
|
21.3
|
3.0
|
0.2
|
T3 |
G+2T |
G+3T3) |
453.3
|
8.1 bc
|
1.15 c
|
18.1 bcd
|
0.47
|
21.2
|
3.0
|
0.4
|
T4 |
G+2T |
G+4T4) |
519.5
|
8.2 ab
|
1.17 c
|
18.1 bcd
|
0.45
|
20.8
|
3.5
|
0.7
|
T5 |
G+2T |
G+5T5) |
517.3
|
9.5 a
|
1.14 c
|
17.7 de
|
0.45
|
20.7
|
3.2
|
0.7
|
F1 |
G+2F6) |
G |
411.3
|
6.4 cd
|
1.39 b
|
18.9 a
|
0.50
|
21.1
|
2.4
|
0.1
|
F2 |
G+2F |
G+2F |
522.0
|
6.9 bcd
|
1.41 ab
|
18.8 a
|
0.47
|
21.6
|
2.4
|
0.2
|
F3 |
G+2F |
G+3F7) |
563.5
|
7.5 bcd
|
1.39 b
|
18.5 ab
|
0.41
|
20.8
|
2.9
|
0.5
|
F4 |
G+2F |
G+4F8) |
511.7
|
7.4 bcd
|
1.41 ab
|
18.0 bcde
|
0.41
|
22.0
|
2.5
|
0.0
|
F5 |
G+2F |
G+5F9) |
547.1
|
7.9 bcd
|
1.38 b
|
17.9 cde
|
0.41
|
21.1
|
2.8
|
0.7
|
1)25ppm 지베렐린, 2)2ppm 티디아주론, 3)3ppm 티디아주론, 4)4ppm 티디아주론, 5)5ppm 티디아주론, 6)2ppm 포클로르페뉴론, 7)3ppm 포클로르페뉴론, 8)4ppm 포클로르페뉴론, 9)5ppm 포클로르페뉴론, 10)색도: L, lightness 0-100; a, green –60 red 60; b, blue –60 yellow 60
♩ Tukey’s test at 5% level
- 생장조정제를 처리할 경우 무처리에 비해 과립중과 당도가 증가하나 비대제 농도를 높일 경우 당도가 감소할 수 있음
- 특히 비대제로 포클로르페뉴론을 사용할 경우 농도 증가에 따른 과립중 증가효과보다 당도 감소 정도가 더 크므로 농도가 2ppm을 넘지 않는 것이 좋음
기대효과
연구자: 경기도농업기술원 원예연구과 한은주, 031-8008-9306, craci@gg.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