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제안] Using Agricultural Production Map as a Policy Support Mapping in Gyeonggi-do
경기도 농산물 생산지도의 먹거리 정책지도 활용
제안배경
- 먹거리 취약성 개선을 위한 도내 푸드시스템의 전반적인 개편이 필요한 상황에서 먹거리의 양과 질 충족, 먹거리 다양성 확대 필요
- – 국정과제인 푸드플랜과 연계한 먹거리기본조례 제정 및 위원회 출범에 따라 먹거리 보장사업 추진시 경기도 농산물 생산정책 가이드 마련이 필요함
- 이에 먹거리 공급 사업에서의 취급요구도가 높은 도내 농산물 생산 및 수요진단을 위한 먹거리 정책지도의 도입 필요
주요 연구성과
- 건의부서 : 경기도먹거리위원회, 경기도 농업정책과
- 먹거리 정책지도 개요
정책제안 연구성과
구분 |
작목수 |
작목별 지도(Map) |
정책지도 적용사업 |
생산면적 상위작목 |
10
|
벼, 콩, 들깨, 건고추, 고구마, 배, 인삼, 포도, 시금치, 옥수수
|
먹거리 보장사업, 안심먹거리 공급사업에서 우선취급
|
수요 높은 품목 |
17
|
당근, 감귤, 감자, 무, 양파, 사과, 바나나, 오렌지, 파인애플, 마늘, 메론, 양배추, 포도, 참다래, 팽이버섯, 수박, 오이
|
먹거리 생산기반조성의 우선 지원
|
- 경기농산물 학교급식 자급률 개선을 위한 지표 개발 : 먹거리자급지수
- 먹거리 자급지수
- – 식량안보지수(Food Security Index)의 개념을 적용하여 경기도 먹거리자급 지수화
- ㆍ 안전(0.5이상), 경계(0.5~0.3), 위험(0.3미만)
- ※ IFAD(International Fund for Agricultural Development, 국제농업개발기금)의 식량자급률 응용개발
- – 산출식 : 생산지수 + 수요지수 = 먹거리자급지수
- ㆍ (생산지수) 해당품목의 경기도 재배 비중×(해당품목 재배면적/품목의 변동성)
- ㆍ (수요지수) 해당품목의 경기도 수요 비중×(해당품목 급식 구입량/구입량의 변동성)
- – 먹거리자급 평가결과 : 벼 이외 대부분 작목이 임계치 이하 작목으로 분류되어 향후 생산지원 확대 필요
기대효과
- 경기농산물 생산지도 개발과 정책과제 적용으로 먹거리 다양성 기반구축에 기여
- – 먹거리 다양성 확대에 따른 도내 학교급식, 공공급식 활성화
연구자 :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이진홍, 031-229-5786, jinhong5@gg.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