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제안] Using Agricultural Production Map as a Policy Support Mapping in Gyeonggi-do

경기도 농산물 생산지도의 먹거리 정책지도 활용

제안배경

  • 먹거리 취약성 개선을 위한 도내 푸드시스템의 전반적인 개편이 필요한 상황에서 먹거리의 양과 질 충족, 먹거리 다양성 확대 필요
  • – 국정과제인 푸드플랜과 연계한 먹거리기본조례 제정 및 위원회 출범에 따라 먹거리 보장사업 추진시 경기도 농산물 생산정책 가이드 마련이 필요함
  • 이에 먹거리 공급 사업에서의 취급요구도가 높은 도내 농산물 생산 및 수요진단을 위한 먹거리 정책지도의 도입 필요

주요 연구성과

  • 건의부서 : 경기도먹거리위원회, 경기도 농업정책과
  • 먹거리 정책지도 개요
정책제안 연구성과
구분 작목수 작목별 지도(Map) 정책지도 적용사업
생산면적 상위작목

10

벼, 콩, 들깨, 건고추, 고구마, 배, 인삼, 포도, 시금치, 옥수수

먹거리 보장사업, 안심먹거리 공급사업에서 우선취급

수요 높은 품목

17

당근, 감귤, 감자, 무, 양파, 사과, 바나나, 오렌지, 파인애플, 마늘, 메론, 양배추, 포도, 참다래, 팽이버섯, 수박, 오이

먹거리 생산기반조성의 우선 지원

 

  • 경기농산물 학교급식 자급률 개선을 위한 지표 개발 : 먹거리자급지수
  • 먹거리 자급지수
  • – 식량안보지수(Food Security Index)의 개념을 적용하여 경기도 먹거리자급 지수화
  • ㆍ 안전(0.5이상), 경계(0.5~0.3), 위험(0.3미만)
  • ※ IFAD(International Fund for Agricultural Development, 국제농업개발기금)의 식량자급률 응용개발
  • – 산출식 : 생산지수 + 수요지수 = 먹거리자급지수
  • ㆍ (생산지수) 해당품목의 경기도 재배 비중×(해당품목 재배면적/품목의 변동성)
  • ㆍ (수요지수) 해당품목의 경기도 수요 비중×(해당품목 급식 구입량/구입량의 변동성)
  • – 먹거리자급 평가결과 : 벼 이외 대부분 작목이 임계치 이하 작목으로 분류되어 향후 생산지원 확대 필요

기대효과

  • 경기농산물 생산지도 개발과 정책과제 적용으로 먹거리 다양성 기반구축에 기여
  • – 먹거리 다양성 확대에 따른 도내 학교급식, 공공급식 활성화
연구자 :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이진홍, 031-229-5786, jinhong5@gg.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