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제안] Multi-valued Evaluation and Operation Model of Urban Agricultural Park

도시농업공원의 공익적 가치평가 및 운영모델

제안배경

  • 도시텃밭면적은 증가하였으나, 1인당 면적은 감소 추세 : 6.8(′10)→6.3㎡(′16)
  • 도시농업 육성 5개년 계획(농식품부, ′18년) : 1시군 1도시농업공원 조성 목표
  • 전국 도시농업공원 현황(’17년) : 7개소(경기1, 서울4, 광주1, 전남1)
  • 도시농업법(공원형 도시농업공원), 공원법(주제공원으로서 도시농업공원)
  • ※ 관련부서 : 농림축산식품부(종자생명산업과), 경기도청(농정해양국 농업정책과)

주요 연구성과

  • 도시농업공원의 공익적 가치평가 : 최소 543 ~ 최대 3,326억원
도시농업공원의 공익적 가치평가 및 운영모델
도시농업공원 특성변수 CVM(가상가치평가) TCM(여행비용법)
WTP(원) 가치평가금액 WTP(원) 가치평가금액
  • 모든 변수 적용
  • 30,529

    3,326억원

    33,976

    543억원

  • 지역변수 1(거대도시)
  • 28,529

    667억원

    33,953

    300억원

  • 지역변수 2(대도시)
  • 25,514

    229억원

    33,948

    225억원

  • 지역변수 2(수도권)
  • 29,795

    1,098억원

    33,955

    385억원

  • 텃밭정원 1(주택형)
  • 26,430

    515억원

    33,948

    75억원

  • 텃밭정원 2(근린생활권)
  • 27,084

    738억원

    33,945

    105억원

  • 텃밭정원 3(농장공원형)
  • 28,185

    370억원

    33,932

    50억원

  • 텃밭정원 4(기타형)
  • 27,385

    69억원

    33,949

    10억원

    • 도시농업공원의 유형분석 (주제공원+분양, 주제공원+체험, 공원내 텃밭정원+분양)

    • 도시농업공원과 근린공원의 시설비용 및 운영비 비교 분석 (사례)
    • – 시설비용 기준 8% 절감 효과, 운영비 기준 19% 절감 효과

    기대효과

    • 도시농업공원 운영으로 시민참여에 의한 비용 절감, 만족도 향상, 공동체활성화
    연구자 : 경기도농업기술원 원예연구과 이원석, 031-229-5802, born815@gg.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