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Model for Successful Settlement of Agriculture and Rural Cooperative in Gyeonggi-do
농업․농촌 협동조합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모델
연구배경
- 2012년 협동조합기본법 시행으로 농업․농촌분야에서는 타 법인에서 전환하거나 신규 설립이 증가하면서 성공적인 정착 지원을 위한 모델 설정 필요
주요 연구성과
- 농업․농촌분야 협동조합 모델 적합도
- – 네트워크 유형은 직매장(4.3), 꾸러미 직거래(4.3), 농산물가공(4.2), 산지유통 (4.4) 순이며, 직접공급유형은 농촌관광(4.5), 도시농업(4.2) 순으로 나타남
- 농업․농촌분야 협동조합 모델
쌀 농가의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 요인
구분 |
생산자 협동조합 |
다중이해관계자 협동조합 |
서비스수요 |
① 조합원 소득증대
② 조합원 복지증진
③ 지역농가 및 농업생산지원
④ 취약계층 및 일반주민 지원
|
① 조합원 고용안정
② 농촌의 수익성 및 지속가능성 제고
③ 환경, 경관, 전통문화보전 및 활성화
|
서비스공급 |
① 직매장
② 농산물 직거래(꾸러미)
③ 농산물 가공
④ 산지유통
|
① 농촌관광
② 도시농업
|
도입필요성 |
생산자 조합의 단점을 보완하고 협동조합 연대를 통한 네트워크 효과 증진
|
다중이해관계자간 이해와 협력을 바탕으로 직접사업 도입 필요
|
설정모델 |
네트워크 모델
|
직접 공급 모델
|
모델특징 |
농업농촌 서비스 체계가 구축되어 있으나 수요자의 눈높이에 부합하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델
|
협동조합이 농업농촌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파악하여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델
|
기대효과
- 농업․농촌 협동조합의 성공적 정착으로 사회적 경제 진흥 및 농가 소득 향상에 기여
연구자 :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이진홍, 031-229-5787, jinhong5@gg.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