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Model for Successful Settlement of Agriculture and Rural Cooperative in Gyeonggi-do

농업․농촌 협동조합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모델

연구배경

  • 2012년 협동조합기본법 시행으로 농업․농촌분야에서는 타 법인에서 전환하거나 신규 설립이 증가하면서 성공적인 정착 지원을 위한 모델 설정 필요

주요 연구성과

  • 농업․농촌분야 협동조합 모델 적합도
  • – 네트워크 유형은 직매장(4.3), 꾸러미 직거래(4.3), 농산물가공(4.2), 산지유통 (4.4) 순이며, 직접공급유형은 농촌관광(4.5), 도시농업(4.2) 순으로 나타남
  • 농업․농촌분야 협동조합 모델
쌀 농가의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 요인
구분 생산자 협동조합 다중이해관계자 협동조합
서비스수요

① 조합원 소득증대

② 조합원 복지증진

③ 지역농가 및 농업생산지원

④ 취약계층 및 일반주민 지원

① 조합원 고용안정

② 농촌의 수익성 및 지속가능성 제고

③ 환경, 경관, 전통문화보전 및 활성화

서비스공급

① 직매장

② 농산물 직거래(꾸러미)

③ 농산물 가공

④ 산지유통

① 농촌관광

② 도시농업

도입필요성

생산자 조합의 단점을 보완하고 협동조합 연대를 통한 네트워크 효과 증진

다중이해관계자간 이해와 협력을 바탕으로 직접사업 도입 필요

설정모델

네트워크 모델

직접 공급 모델

모델특징

농업농촌 서비스 체계가 구축되어 있으나 수요자의 눈높이에 부합하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델

협동조합이 농업농촌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파악하여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델

기대효과

  • 농업․농촌 협동조합의 성공적 정착으로 사회적 경제 진흥 및 농가 소득 향상에 기여
연구자 :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이진홍, 031-229-5787, jinhong5@gg.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