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에 따른
경기도 작물재배 변화

기후변화는 폭염, 냉해, 폭우, 가뭄 등 이상기후를 통해 농작물 생산에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다. 농작물 피해는 크기와 범위가 점점 확산되고 있다. 지난 10년간 경기도 연평균 기온은 1.2℃ 상승했고, 강수량도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글. 이원석 농업분석팀장 /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031-8008-9292)

이상고온, 작물에 가장 많은 피해줘

기후변화는 봄꽃 개화 시기를 앞당기고, 농작물 재배 적지를 북쪽으로 이동시키는 등 농업 환경에 큰 변화를 주었다. 이런 현상에 대응하고자 경기도 16개 시군농업기술센터 작물 전문지도사와 농업인을 대상으로 이상기후와 병해충으로 피해를 많이 받는 작물은 어떤 것이 있으며, 온난화로 재배가 가능해지거나 생산이 증가하는 작물은 무엇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이상기후 유형별로 작물 피해정도는 이상고온(폭염)이 가장 컸으며 이상저온, 가뭄, 태풍, 우박 순이었다. 이상기후별 농작물에 미치는 위험도(5점 척도)는 폭우가 3.5점, 병해충 3.3, 고온 3.2, 저온·가뭄·식물병이 3.1, 태풍 2.9로 나타났다. 이상고온에 따라 재배가 어려워지는 작물로는 무, 건고추, 들깨, 배추가 각각 4.0(5점 척도)으로 나타났으며 이상저온의 경우 배가 4.3으로 가장 높고, 들깨 4.0, 감자 3.6의 순이다. 이상강수(폭우)의 경우 무와 들깨가 각각 5.0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감자 4.6, 단호박 4.0의 순이다. 이상기후로 재배 피해가 많은 작물은 배 등 과수류와 무, 배추, 고추, 감자 등 노지채소 및 밭작물로 조사되었다.

2023년 이른 개화기 저온피해 작물은 배, 사과, 복숭아, 포도로 지역은 남양주시, 여주시, 이천시, 안성시, 평택시였다. 강풍·우박 피해 작물은 과수류(배, 사과, 복숭아 등), 노지채소(상추, 배추 등)로 지역은 포천시, 가평군, 남양주시, 광주시 등이다. 집중호우 피해 작물은 과수류(사과, 복숭아, 자두), 밭작물(상추, 배추, 고추 등)로 지역은 여주시, 안성시, 평택시이다. 염해수 피해 작물은 포도로 지역은 평택시, 화성시, 안산시이다. 폭염 피해 작물은 과수류(사과, 복숭아, 포도), 밭작물(고추, 인삼 등)로 연천군, 파주시, 김포시, 여주시, 이천시이며, 가뭄 피해 작물은 과수류(사과, 복숭아, 자두), 밭작물(상추, 배추, 고추 등)은 연천군, 포천시, 여주시, 안성시, 평택시, 화성시이다.

재배한계지 북상으로 귀리, 사과, 아열대작물 등도 재배 가능

반면 재배한계지가 북상하여 경기도에서 재배가능한 작물로 마늘, 양파, 대파, 생강, 사과, 밀 등이 있다. 그런데 이중 마늘, 양파, 생강 등 은 경기도 친환경 학교급식에 납품되는 대형수요처가 있었기에 생산이 증가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기후변화로 재배가 가능해
지거나 생산이 증가한 작물에는 사과, 귀리, 밀 그리고 만감류, 아열대작물 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후온난화로 인해 제주도나 남부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던 만감류, 망고, 바나나, 백향과 같은 아열대 과수와 공심채, 삼채, 오크라 같은 아열대 채소가 경기도에서도 재배되고 있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경기도 농업의 전략적 접근은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기후변화 대응 신품종 육성과 재배 기술 개발로 적응하고, 온실가스 감축 기술 개발과 농경지 탄소중립 기술로 완화하려고 노력하고 농업기상 데이터 분석 및 예측 모델 개발로 위기를 예측한다. 이러한 전략은 기후변화로 인한 농업의 위협을 최소화하고, 농업인들의 기후변화 적응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기후변화로 인해 재배에 피해를 많이 받은 작물 5점 척도: 1(가능성 낮음)~5(가능성 높음) / 이상고온(폭염) 무 4.0 건고추 4.0 들깨 4.0 배추 4.0 / 이상저온(냉해) 배 4.3 들깨 4.0 감자 3.6 / 이상강수(폭우) 무 5.0 들깨 5.0 감자 4.6 단호박 4.0 / 이상가뭄 감자 4.0 가지 4.0 건고추 4.0 / 태풍 배 4.5 딸기 3.5 / 식물병 무 4.0 단호박 4.0 배 3.8 / 병해충 딸기 4.5 무 4.0 가지 4.0 단호박 4.0
기후변화로 인해 재배가 가능 또는 증가하는 작물 5점 척도: 1(가능성 낮음)~5(가능성 높음) / 월동가능 만감류 5.0 사과 4.5 보리 4.0 배 4.0 / 소득성 샤인머스캣 4.0 귀리 4.0 보리 4.0 아열대작물 4.0 / 수요처 만감류 5.0 들깨 4.0 가지 4.0 밀 4.0 / 재배기술 귀리 4.0 사과 4.0 노지오이 4.0 / 보조사업지원 가지 5.0 느타리 5.0 사과 4.0 아열대작물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