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가 해를 거듭할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농업은 다른 분야보다 기후변화에 민감하고 취약하기에 이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 개발과 실천이 중요하다.
경기도농업기술원의 기후변화 대응 대표 시험연구사업을 소개한다.
글 편집실
도내 농경지 농업환경 변동조사 및 DB 구축
- 4년마다 논, 밭, 시설, 과수원 등의 토양변동조사, 농업용수 수질조사, 대표필지 토양검정 등 추진
- 시군농업기술센터에 친환경농산물 안전생산을 위한 수질 등 농업환경 변동 교육자료를 제공하고 농업환경변동 DB 구축
- 토양화학성 분석 정확도 향상을 위해 19개 시군 친환경분석실 대상으로 정도관리를 실시, 현장컨설팅을 통해 분석기술 지도
지속가능 환경보전형 토양관리 기술 개발
- 토양 염류집적 및 연작장해를 경감시키고 비료 사용을 줄이기 위해 간이진단기로 애호박 엽병에서 질소 함량을 측정해 식물체 영양상태를 신속하게 알 수 있는 질소 간이진단법 개발
- 들깨, 비름, 돌나물, 순무, 근대 재배농가에 대해 비료 사용량, 토양 화학성 및 비료 살포에 의한 양분흡수량을 분석해 비료 표준 사용량과 토양검정에 의한 비료사용 추천식으로 질소, 인산, 칼리 비료사용 기준 설정
기후변화 대응 농경지 온실가스 저감기술 개발
- 기후변화 대응 농경지 온실가스 배출량의 정확한 산정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국·내외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온실가스 측정방법에 대한 품질관리 지침서 발간
- 이상기상 발생빈도 증가에 따른 도내 주요 작목 안정생산을 위해 기상위험요소인 이상저온, 이상고온, 폭우, 가뭄을 분석해 생태형별 대체작목 예측
- 화학비료 사용량 등 농경지 온실가스 통계데이터 플랫폼을 구축, 볏논 무써레질 이앙재배에 대한 국가 온실가스 배출계수 개발
농경지 토양탄소 저장 및 가축분퇴비 이용기술 개발
-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1,193ha에 우분퇴비 1만 4,316톤을 살포해 작물재배 농가와 축산이 함께 상생하는 지역 순환형 농업활성화에 기여
- 가축분뇨 부숙도 분석실을 운영하는 도내 15개 시군농업기술센터를 대상으로 가축분뇨 부숙도 분석실 운영에 따른 분석정확도 향상을 위한 정도관리 실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