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농업 발전전략 연구
영역 6 기관고유 대과제 농업기술경영연구
과제 및 세부과제명 과제구분 연구분야 수행기간 과제책임자 및 세부과제 책임자
지역농업 발전전략 연구 기관고유 농업경영 ’20~’21 작물연구과 이원석
1) 특화작목 성장잠재력 분석을 통한 경기북부 지역농업 활성화 전략 연구 지특 농업경영 ’20~’21 작물연구과 이원석
2) 농업바이오기술 이용 경기북부농업 적용 방안 연구 기관고유 농업경영 ’20~’21 작물연구과 정재원
색인용어 경기북부, 특화작목, 성장잠재력, 지역농업, 농업바이오, 그린바이오
연구개발의 필요성
민선7기 경기도 균형발전 도정 목표에 맞추어 특화작목 성장잠재력 분석을 통한 경기북부 지역농업 활성화 전략 연구가 필요함
가) 경기북부 10개년 발전계획 농업 농촌부문 추진사업 (경기연구원, 2015)
나) 경기 남북부 농산업 현황 비교
다) 농산업 분야는 경기북부 지역이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어, 균형발전 차원에서 경기북부 농산업 활성화 안 연구가 필요함
농업바이오 기술과의 접목을 통해 농림·축수산 자원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농어촌의 소득증대, 산업구조 고도화가 가능하며 도시-농어촌 간 소득격차를 해소하고 국가균형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음
가) 식품의약품안전처 「건강기능식품산업현황」 통계에 따르면 국내 건강기능식품 매출액은 2016년 2조 1260억 원, 2017년 2조 2374억 원, 2018년 2조 5221억 원으로 성장하고 있음
나) ‘그린바이오’로 불리는 농업바이오 분야는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 공급’, ‘지속가능하고 환경친화적인 식량자원 생산’, ‘고부가가치 농생명 신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생명공학기반의 과학기술 분야로 산업적으로 중요할 뿐만 아니라 국민의 건강·삶의 질과 직결됨
다) 경기북부는 콩, 인삼 등의 농업바이오 활용이 용이한 농업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나 산업화를 위해 기능성 품종 개발, 산업용 소재화 기술, 원료의 기능성 규명 연구, 안정 생산 기술 등의 연구·기술 개발이 요구됨
라) 경기북부지역농업은 남북교류협력에 파급효과가 큰 산업 중 하나로 북한의 경제제재가 완화될 시 가장 먼저 시도할 수 있는 남북협력 사업임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