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 신품종 육성 및 재배기술 개발
영역 3 어젠다 2 대과제 1
과제 및 세부과제명 과제구분 연구분야 수행기간 과제책임자 및 세부과제 책임자
콩 신품종 육성 및 재배기술 개발 기관고유 ’05∼ 소득자원연구소 조동현
1) 콩 우량계통 육성 시험 기관고유 ’05∼ 소득자원연구소 조동현
2) 콩 우량계통 생산력검정 시험 기관고유 ’05∼ 소득자원연구소 조동현
3) 콩 우량계통 내재해 및 가공적성 검정 시험 기관고유 ’07∼ 소득자원연구소 조동현
4) 콩 우량계통 지역적응 시험 어젠다 ’07∼ 소득자원연구소 조동현
5) 콩 작황조사 시험 어젠다 ’19∼ 소득자원연구소 조동현
6) 콩 기본식물 양성 기관고유 ’19∼ 소득자원연구소 장정희
7) 특수용 콩 우량계통 육성 및 생산력검정 시험 기관고유 ’16∼ 소득자원연구소 장정희
8) 경기북부 지역 나물용 콩 품종선발 시험 기관고유 ’18∼’21 소득자원연구소 장정희
9) 경기북부 지역 논 이용 작부체계 기술 개발 기관고유 ’18∼’20 소득자원연구소 장정희
색인용어 콩, 육종, 품종, 계통육성, 가공적성, 작황, 나물콩, 논재배, 작부체계
연구개발의 필요성
국산 콩은 수입산에 비하여 가격경쟁력이 낮고, 국내 콩 유통물량은 수입의존도가 높은 현실이지만, 국내 콩 재배면적은 줄어드는 추세로 자급기반 마련이 시급한 실정임.
콩 재배면적은 2000년대보다 감소하였으며, ’19년 전국 콩 재배면적 58,537ha, 생산량 105,340톤, 10a당 생산량 180kg이었고, 경기도는 콩 재배면적 5,124ha, 생산량 7,911톤, 10a당 생산량 154kg이었음.
경기콩의 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농가 재배에서 안정적인 내재해(내병성, 내도복성 등), 다수성이면서 소비자와 가공업자의 욕구에 충족할 수 있는 두부, 두유, 장류 등 용도별 고품질 콩 품종개발이 필요함.
소비자의 건강 기능성 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서리태 등 밥밑용 콩의 수요 증가에 부응하는 고품질 밥밑용 콩 품종개발이 필요함.
’18년 친환경농산물의 39%는 학교급식으로 유통되는데, 그중 콩나물은 학교급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식재료로 2018년 기준 446톤이 소요되었음.
경기도, 경기농식품유통진흥원, 경기도친환경농업인연합회가 2015년부터 도내 친환경 콩 생산기반 확대를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2020년부터 도내에서 재배한 친환경 콩을 원료로 만든 ‘경기 친환경 콩나물’을 100% 학교에 공급하기 위해서 90톤 정도의 친환경 콩나물 콩을 ’19년에 수매하였음.
특수용 콩으로 경기지역에 적응하는 나물용 콩 품종개발도 필요한 실정으로 친환경재배에 적합한 나물용 콩 품종선발과 보급이 시급함.
쌀을 제외한 맥류, 콩 등의 작물들은 식량자급률이 낮기 때문에 생산량을 높이는데 기여하면서 쌀 적정생산 정책에 부응할 수 있는 논 타작물재배에 대한 기술 개발로 논 이용 맥류와 콩 작부체계 기술, 나물용 콩 논 재배기술 개발이 필요함.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