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군 공급 미생물의 원균관리 및 생산체계 구축
영역 2 어젠다 2 대과제 3
과제 및 세부과제명 과제구분 연구분야 수행기간 과제책임자 및 세부과제 책임자
시군 공급 미생물의 원균관리 및 생산체계 구축 기관고유 미생물 ’20~’21 버섯연구소 문지영
1) 시군 미생물 배양·관리 실태 및 품질조사 기관고유 미생물 ’20 버섯연구소 문지영
2) 시군 공급 미생물의 우수 원균 선발 및 작물 적용시험 기관고유 미생물 ’20~’21 버섯연구소 백일선
3) 시군 공급 미생물 생산·관리 기준 설정 기관고유 미생물 ’20~’21 버섯연구소 문지영
색인용어 시군친환경미생물배양실, 농가보급, 실태조사, 특성검정, 친환경농업
연구개발의 필요성
세계 미생물제품 시장 규모는 2,590억 달러(297조원, 2016년)이고, 그 중 농업미생물시장은 23억 달러(2조6,400억원, 2015년)임. 농업미생물 시장은 연간 평균 15.5% 성장하여 2020년까지 47억 달러(5조4,300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Global Agricultural Microbials Market – Growth, Forecasts and Trends (2016-2021), Research and Markets).
국내 미생물 시장 규모는 7,714억원(2010)으로 추정되며, 그 중 농업미생물 시장은 645억원 수준으로 추정됨. 생균제가 400억원, 지자체보급 미생물제가 145억원, 미생물제제가 100억원 정도의 시장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고됨(작지만 아름다운 미래의 보물 미생물, 인터러뱅).
전국 시·군 농업기술센터 미생물 배양실 139개소에서 연간 43,463톤(2019)의 미생물제를 보급하고 있으며, 경기도는 전국 공급량의 29.9%인 13,003톤을 보급하여 공급량 1위를 기록하였음(경기도농업기술원 기술보급과).
경기도는 양평, 이천, 여주의 미생물 공급량이 도 전체 공급량의 약 47.6%를 차지(2019)하며, 이는 팔당유역 상수원 보호구역의 지리적 특성과 관련이 있음.
도내 시군센터 유용미생물 농가 보급량은 축산용 6,648톤, 농업용 6,355톤(2019)으로 ’18년 대비 각각 6.1%, 2.9% 증가하였으며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음(’18년 축산용 6,262톤, 농업용 6,174톤). 농업용은 광합성세균(676톤), 고초균(450톤), 유산균(331톤),효모(197톤) 순으로 많이 보급됨.
도내 시군센터에서 법적으로 생산업이 등록된 미생물제는 광합성세균이 3종(Rhodobacter sphaeroides, Rhodobacter capsulatus, Rhodoseudomonas capsulatas), 바실러스균이 4종(Bacillus subtilis, Bacillus thuringiensis, Bacillus megaterium, Paenibacillus polymyxa), 유산균이 2종(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plantarum), 효모가 1종(Saccharomyces cerevisiae)임.
대부분 시군센터에서의 미생물 분양은 배지판매업체로부터 받아 배양하여 농가에 보급하고 있으나 미생물의 특성검정 및 현장효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음.
도내 시군센터에서 공급하는 4종의 미생물에 대한 작물별 최적 처리주기, 환경정착능 등 현장적용 연구가 미비함.
바실러스는 작물의 생육 촉진, 병 저항성 증진, 병 방제 뿐 아니라 해충 방제, 악취 저감, 사료제조 등의 목적으로 다양한 농업 현장에 사용되고 있음(Velivelli et al.,2014).
광합성세균 및 효모는 작물에 유용한 생리활성물질을 분비하며, 유산균은 토양의 난분해성유기물을 가용화하는 역할을 함.
경기도는 유용미생물을 동물위생시험소(축산용), 버섯연구소(농업용)에서 각 시군센터로 공급하고자 하며, 2019년에 동물위생시험소를 주축으로 5개 시군에 시범 공급하였음.
경기도형 유용미생물 공급체계를 구축하고, 고품질 미생물을 생산·보급하기 위해 시군센터의 미생물 배양, 관리 실태와 생산하고 있는 미생물의 품질을 조사할 필요가 있음.
도내 미생물생산 18개 시군센터에서 공통적으로 공급하는 미생물 광합성세균, 고초균, 유산균, 효모 4종에 대한 기능성 검정, 적합 원균을 선발하여 우수 균주에 대한 체계적인 종균 관리가 필요함.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