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인장 다육식물 수출 및 이용확대연구
영역 4 어젠다 1 대과제 6
과제 및 세부과제명 과제구분 연구분야 수행기간 과제책임자 및 세부과제 책임자
선인장 다육식물 수출 및 이용확대연구 기관고유 화훼 ’17~’22 선인장다육
식물연구소
이지영
1) 게발선인장 고품질 상품화 재배기술 개발 ’17∼’19 이지영
2) 접목선인장 분화 수경재배 일관생산기술 개발 ’18~’21 이재홍
3) 다육식물 고온기 재배기술 개발 ’19~’21 김윤희
4) 다육식물 실내 공기질 개선 연구 ’19~’22 정재홍
색인용어 게발선인장, 개화품질, 접목선인장, 분화, 수경재배, 생력화, 다육식물, 고온기, 실내공기
연구개발의 필요성
게발선인장은 화색이 다양하고 소비시장이 확대되는 분화류로 고품질 상품화 재배 기술 확립이 필요함
게발선인장은 단일식물로서 일장조절을 통하여 출하시기를 조절하며 재배작형의 다양화를 위해 효율적인 개화조절이 필요함
접목선인장 상자 수경재배기술 개발로 노동력이 56% 절감되고 생산성이 20% 이상 향상되었으나 수확기 악성노동 경감을 위한 재배기술 개발이 필요함
접목선인장 분화 수경재배는 수확이 완료된 접목선인장이 식재된 화분의 개별적 이동배치가 가능하므로 토지생산성 향상을 위한 일관생산기술 확립이 요구됨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라 기상이변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이상고온의 피해가 증가되어 여름철 기온상승으로 인한 다육식물의 고사 등 생리장해로 인해 농가들의 피해가 발생되어 다육식물 고품질 상품 생산 재배기술 개발이 필요함
※ 최근 3년간 8월 평균 최고기온 : ’16) 36.5℃ → ’17) 36.9℃ → ’18) 39.3℃
여름철 재배는 고온과 강광에 의한 호흡, 증산, 스트레스로 광합성 산물의 소모 증가로 생육불량, 상품성 저하 및 수량감소를 유발하므로 작물의 고온경감 재배기술 연구가 필요함
국외 유입 및 국내 발생 미세먼지로 인한 공기오염 농도가 증가하고 나쁨수준(PM10 : 150㎍/㎥, PM2.5 : 75㎍/㎥) 이상의 빈도가 늘어나 실내환경 개선을 위한 공기 오염물질 저감연구가 필요함
국내 연구 현황
– 최근 화훼류의 LED 적용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국화 전조재배시 적색과 청색 혼합 파장에서 착화수가 20∼30% 증가하였고 작물에 따라 개화반응이 다른 경향을 보였음(’01,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지; ’13, 경기도원)
– 게발선인장 엽상경 2단(마디)에서 적심시 분지수가 41∼86% 증가하였음 (’17, 경기도원)
– 칼랑코에와 부겐베리아의 출하전 STS 살포로 낙뢰율 저하 등 분화수명이 증가하였음 (’11, 한원지)
– 접목선인장 생력고품질 생산기술로 상자 수경재배기술을 개발하였음(’17, 경기도원)
– 멜론 고온기 재배시 백색 차광망과 차광도포제 이용으로 온도 하강 및 상품수량이 증가 하였으며, 안개초의 차광재배시 기형화 발생율이 감소하였음 (’18, 한원지; ’05, 한원지)
– 관엽식물의 공기질 개선효과가 보고되었으며 파키라, 디펜바키아 등의 미세먼지 저감효과가 높은 편이었음(’18, 한원지)
국외 연구 현황
– Easter cactus는 4∼8주 단일처리 하였을 때 꽃수 증가 등 개화품질이 양호하였음 (’88, HortScience)
– 접목선인장 생력화 고품질 분화생산기술 개발 관련 연구 없음
– 가로수, 관목 등 수목류의 미세먼지 저감효과 시험결과 회화나무의 저감효과가 높았음(’17, PLoS ONE)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