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S 대응 농경지 농약잔류 영향평가
영역 어젠다 3 대과제 (2)
과제 및 세부과제명 과제구분 연구분야 수행기간 과제책임자 및 세부과제 책임자
PLS 대응 농경지 농약잔류 영향평가 기관고유 농업환경 ’19~’20 환경농업연구과 신민우
1) 비의도적 농경지 토양 농약잔류 노출평가 기관고유 농업환경 ’19∼’20 환경농업연구과 노안성
2) 벼 재배지 인근 농약 비산에 의한 타작물 농약잔류 영향 구명 기관고유 농업환경 ’19∼’20 환경농업연구과 신민우
색인용어 농약잔류, 농산물안전성, 토양오염, 고잔류성 농약
연구개발의 필요성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해 농경지 중 농약 안전관리가 중요시 인식되고 있어 농경지 안전성 및 지속가능 농업을 위해 주기적으로 농경지 잔류농약 실태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음
2019년 농약 허용물질 목록관리제도(Positive List System) 전면시행에 따른 도내 유통농산물 부적합 30%이상 증가 예상 및 현장애로 방안 요구
PLS 시행, GAP, 친환경농산물 인증을 위해 농경지 중 농약 안전관리가 중요시되고 있으며 농경지 안전성 및 지속가능 농업을 위해 주기적으로 농경지 잔류농약 실태조사 필요
농약 허용물질목록 관리제도(PLS)가 시행됨에 따라 소면적 작물 등 농약부족 작물에 대한 농약등록이 추진되고 있으나, 비의도적인 농약오염(항공방제, 토양오염 등)에 대해서는 농가피해 최소화 방안 미흡
벼 항공방제시 비의도적 농약비산에 따른 인근 타작물 농약잔류 영향 구명 필요
국내 연구 현황
– 농업환경 중 잔류성 유기염소계 농약 모니터링 및 노출량 평가(’15~’17)
– 80점의 논토양과 토양수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결과, 13개의 시료에서 5종 잔류농약이 검출되었음(2012, 노 등)
– 재배환경 중 유해물질 실태조사(농산물품질관리원) : 농경지 중 살균제 20종, 살충제5종, 제초제 16종 검출
– 전국 농경지 토양(150지점), 지하수(62지점)에 대한 ‘디클로로디페닐트리클로로에탄(DDT)’ 조사(2018, 환경부)
국외 연구 현황
– 농업환경지표를 설정하고 토양, 수질 모니터링 활용 농업정책 수립(일본)
– 토양 중 잔류농약 오염기준이 설정되어 관리되고 있음(네델란드 22종, 호주/뉴질랜드 3종, 일본 3종)
– Alachlor는 용해도, 토양 흡착성, 강우와 기온의 환경요인으로 용탈 가능성이 높아 지하수 검출 연구수행(미국, 유럽, 일본 등)
– 일본과 대만은 PLS제도 관련 농약안전사용에 관한 업무를 지방정부에 위임하였고, 지방정부는 작물에 대한 모니터링과 출하전 농산물안전성 조사 실시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