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적응 및 온실가스 저감 친환경 생산 기술 개발
영역 어젠다 1 대과제 (4)
과제 및 세부과제명 과제구분 연구분야 수행기간 과제책임자 및 세부과제 책임자
기후변화 적응 및 온실가스 저감 친환경 생산 기술 개발 기관고유 농업환경 ’17~’21 환경농업연구과 주옥정
1) 기후변화에 따른 경기도 적응 대체 작목 예측 연구 기관고유 농업환경 ’19∼’21 환경농업연구과 주옥정
2) 농경지 온실가스 자동측정 및 배출량 품질관리기법 연구 어젠다 농업환경 ’17∼’20 환경농업연구과 주옥정
3) 기후변화에 따른 벼 생태형 및 재배 지대별 생육특성 구명 어젠다 농업환경 ’18∼’19 환경농업연구과 신민우
색인용어 기후변화, 대체작목, 온실가스, 품질관리
연구개발의 필요성
기후변화는 인류의 식량안보를 위협하는 중대한 문제이며, 농업은 기후요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산업으로 새로운 기상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안정적 생산기술 개발 필요
지구온난화에 따라 지역 특산물의 북상 등 재배적지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 개발 필요
기후변화 대응 농작물 안정생산 기술 개발을 위한 새로운 소득작목 및 대체작목 선정 필요
온실가스 저감 친환경 생산기술 개발을 위해서는 농경지 온실가스 발생량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선행되어야 함
온실가스 의무감축 및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고도화를 위한 온실가스 품질관리 기술 개발 필요
벼 재배기간의 온도 상승은 벼 등숙 기간의 단축뿐 아니라 고온에서의 임실율 저하, 야간고온에 의한 호흡손실 등의 영향으로 벼 수량 감소
국내 연구 현황
– 기후변화 대응 단감 안전재배지대 설정 연구(2016, 전남도원)
– 기후변화 대응 아열대과수 도입 선발(2014, 제주도원)
– 주요 과수 및 약용작물 재배지 예측지도(2014, 농촌진흥청)
– 기후변화 대응 도입작목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2013, 전북도원)
– 벼 재배지 메탄 기본 배출계수 및 유기물 시용 보정계수 산정(2013, 농과원, 경기도원)
– 농업분야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의 불확도 추정 및 평가(2013, 서울대)
– IPCC Tier 3 수준의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 및 적용성 평가(2018, 농과원)
– 기후변화에 따른 벼 수량 및 품질 저하 원인 구명(2013, 국립식량과학원)
–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중묘 최적 이앙시기 구명(2005, 농촌진흥청)
국외 연구 현황
– 농업기후지대 지표에 따른 기후학적 재배적지 분석(2010, Agroscope)
– 주요작목의 지리학적 분포 및 지역적 재배 가능지 연구(2017, Forest Research)
– 약용작목의 재배적지 예측을 위한 모델링 연구(2016, Environ. Earth Sciences)
– 아열대 기후에서의 복숭아 적응성 및 안정성 평가(2018, UFG CIAGRA)
– 주요 작목의 기후변화 영향 및 안정성 분석(2016, PLOS)
– Tier 3 접근법(process-based model) 통한 농경지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2018, EPA)
– 모델링을 통한 온실가스 주요 배출원 평가(2018, Atmos. Chem. Phys.)
– 기후변화에 따른 세계 4대 작물 총 생산량 예측(2011, Lobell et al.)
– 온난화로 인한 쌀 수량 영향 구명(2004, Peng)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